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

충주탑사적공원 _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국보 제6호), 중앙탑사적공원 삼국시대 가장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중원(中原)의 한강유역이 바로 이곳이다. 지역적으로 충주에 위치하여 삼국시대 최후의 승자였단 통일신라가 나라의 중앙이라는 표시로 만들어 세운 중앙탑사적으로 충주를 상징하는 바가 크다. 충주박물관 1986년 유물전시관으로 개관한 이래 종합박물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상설전시, 각종 특별전, 증원문화권에 대한 학술조사, 박물관전통문화학교, 어린이박물관학교 등 여러 활동을 통해 시민과 함께하는 박물관으로 거듭나고 있다.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_ 국보 제6호 통일신라기에 나라의 중앙에 세운 유일한 칠층석탑으로 가장 높은 석탑이다. 충주호조각공원 다양한 조각작품 중 남한강변에 세워진 몇 점을 담아봤다. 풍류문화관(중앙탑 의상실) 풍류문화관은.. 2021. 12. 17.
[충북 충주] 반기문 옛집 반선재(潘善齋) & 충주누리야시장 충주명물 순대, 만두 반기문 옛집 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무학4길 4-9 (문화동 751) 이용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월요일은 휴관한다. 반기문 UN 사무총장의 재임기간 [2007.1.1~2016.12.31]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제7대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하였고,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10년의 임기를 마쳤다. 반선재(潘善齋) 반기문 전(前) 유엔 사무총장이 청소년 시절을 보냈던 본가 2013년 8월 복원되어 반선재(潘善齋)라 이름 붙혔으며, 반기문 총장의 사진과 동상을 전시하고 있다. ▼ 충주 누리야시장 ▼ 순대·만두 골목 충주 명물로 대접 받는 순대와 만두 만두 가게는 딱히 이 골목이다 할 수는 없겠고, 순대 가게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명물 맛보기는 필수 이곳 충주는 시래기순댓국으로 유명하며.. 2021. 12. 16.
충주 석종사(釋宗寺) 화엄공원 선림원(템플스테이) 오층석탑 고려시대에 이곳이 폐사지였음을 증명해주는 석탑으로, 발견 당시 삼충만 남아있던 것을 오층석탑으로 복원했다. 범종각 천척루 감로각 대웅전 앞으로 널찍한 돌계단이 놓여있다. 여행일 2021.12.04. 석종사(釋宗寺)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로 1983년 승려 혜국이 창건하였다. 다만 석종사의 불사 이전에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전하는 석탑이 있었다는 점을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이미 사찰이 조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문화제로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5호인 불설사십이장경(佛說四十二章經),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66호인 인천안목 권상(人天眼目 卷上), 충주시 유형문화재 제267호인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詳校正本慈悲道場懺法) 권7~10을 소장하고 있다. 2021. 12. 14.
충주 수주팔봉 출렁다리 _ 달천 차박 캠핑장 석문동천의 물길을 달천으로 돌리고 농경지를 만들기 위해 달천과 석문동천이 만나는 절벽의 능선암벽을 절단해 인공수로를 만들고, 절단된 양쪽을 연결해 출렁다리를 설치하였다. 모원정(慕源亭)은 1981년 12월 충주시 지현동에 사는 이명수 옹이 부모님을 추모하는 마음으로 양친 산소가 있는 곳에 건립한 정자로 내부에는 이호창이 쓴 모원정기(慕源亭記) 편액이 걸려있고, 정자 입구에는 1996년 3월 제자들이 세운 이명수의 선행을 기록한 비가 세워져있다. 이 비는 충주시 지현동·문화동·충인동·교현1동·달천동·용산동의 동장들이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세웠다. 수주팔봉 출렁다리에서 바라본 풍경 병풍처럼 둘러진 산봉우리 아래 활처럼 휘어진 팔봉마을과 그윽히 흐르는 달천이 한눈에 들어온다. 달천 강변에서 캠핑을 즐기는 .. 2021. 12. 12.
용천유기영농조합법인 초록내음 (충북 충주) 용천유기영농조합법인법인 _ 초록내음 지번 :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만정리 434-1 / 전화 : 043-853-3138 저탄소 인증마크(GAP)는 탄소 배출량 인증을 받은 제품 중 온실가스 배출이 일정 기준 이하이고, 지속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는 제품임을 정부가 인증해 주는 제도이다. 유기농 인증마크는 3년 이상 농약, 화학비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고 재배한 농축산물로 만든 먹거리에 부여되는 정부가 인증해 주는 제도이다. 충북 충주시 대소원면에 자리한 용천유기영농조합법인 녹색내음, 아쉽게도 코로나19 여파로 외부 환경만 돌아볼 수 있었다. 농업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 윤리적 소비 선택권을 제공하고 녹색내음과 함께 지구도 살리고 생명도 살리고 고~~ 2021.12.04. 2021. 12. 7.
고란사 나루터에서 황포돛배 탑승 _ 구드레 백마강 둔치에서 국화꽃 감상 고란사 나루터에서 황포돛배 탑승 _ 구드레 백마강 둔치에서 국화꽃 감상 기와집 황포돛배가 손님 태우러 고란사 나루터로 달려가고 있다. 근데 구드래 나루터에서는 손님을 한 명도 태우지 못한 것 같다. 육안으로 봐도 그렇고, 구드레 나루터에서 황포돛배로 고란사 가는 사람이 드물지 않나 싶다. 2021 제18회 백제고도 부여국화축제 충남 부여군 부여읍 나루터로 72 (구드레 백마강 둔치) 축제 기간 : 11월 3일(수) ~ 11월11일(목) ▼ 구드래 백마강 둔치 제18회 백마고도 부여국화축제 개장일을 4일 앞두고 준비가 한창이다. 국화의 종류도 다양하고... 부여를 상징하는 예술 작품들과 크고 작은 다양한 작품들이 너른 구드레 백마강 둔치를 그윽이 물들이고 있다. 「한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 2021. 11. 7.
부여 부소산성 - 고란사 부여 부소산성(扶餘 扶蘇山城 _ 사적 제5호)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부소산성은 538년 백제 성왕이 웅진에서 사비로 도읍을 옮긴 후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123년 동안 백제의 도읍지였으며, 당시에는 사비성이라 불렀다. 부여 부소산성의 둘레는 2,200m, 지정면적은 98만3900㎡이다. 백화정은 낙화암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사비성이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함락될 때에 이곳에서 백마강에 목숨을 버린 궁녀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1920년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고란사(皐蘭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고란사는 낙화암 아래 백마강가 절벽 고란초 서식 지역 근방에 자리하고 있으며, 원래는 백제의 왕을 위한 정자, 궁중의 내불전, 백제 멸망 때 백마강에 몸을 던진 궁녀들의 넋.. 2021. 11. 6.
부여 궁남지 _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서려있는 곳 부여 궁남지(扶餘 宮南池) 백제 제30대 무왕(武王) 때 궁궐의 남쪽에 만든 큰 연못으로, 사비 시대의 백제를 대표하는 장소 중 하나이다. 서동과 선화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시작되는 곳 옛날 옛적, 백제 때 한 과부가 어쩌다 이 못에 사는 용의 아이를 낳았다. 태어난 아이는 어려서부터 마를 캐다 팔아 이름을 맛동, 곧 서동이라 하였다. 유달리 영특했던 서동은 커서 아름다운 선화공주를 사모하였고, 그 사랑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선화공주와 서동이 서로 사랑하는 사이라는 동요를 지어 아이들의 입을 통에 널리 퍼지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서동은 선화공주와 결혼을 하였고, 후일 서동은 백제의 30대 왕인 무왕(武王)이 되었다. 요즘의 궁남지, 별 의미를 두지 않았는 데 향기 찐, 시드는 갈 잎새가 어서 오라 손짓을.. 2021. 11. 5.
논산 탑정호 _ 탑정호 출렁다리 & 수변산책 논산 탑정호 준공일 2020년 10월 5일 개방시간 9시~18시 (입장 마감 17시 40분) / 수용인원 약 5000명 매주 수요일 휴무, 토요일 일요일에 한해 순환버스 운행 출렁다리 바닥은 나무테크와 S자 모양의 지그재그 철망이 길게 이어져 있다. 철망은 안전을 위해 설치된 것으로, 철망의 수많은 구멍으로 바람이 통하도록 설계했다고 한다. 아무튼 흔들흔들 철망 사이로 보이는 일렁이는 물살이 공포감을 주기에 충분했고, 덩달아 불어오는 솔솔 바람과 함께 상쾌했다. 여행일 2021.10.30. 2021. 11. 5.
새만금 바람길 _ 망해사 전망대(진봉망해대) 전망대 오르는 나선형 계단의 폭이 너무 좁고 가파르다 난간을 부여잡고 조심조심 뒤돌아 서서 올라온 방향을 찍어봤다. 전망대에 오르면 확 트인 시야가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새만금방조제 완공 전에는 서해 바닷물이 넘실대는 풍경이었을 텐데 현재는 물이 거의 빠진 상태로, 동쪽으로 드넓게 펼쳐진 김제 만경평야가 볼만 하다. 여행일 2021.10.23. 2021. 11.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