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

망해사(望海寺) _ 고즈넉함의 극치를 이루는 곳 망해사(望海寺)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절(寺刹)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김제 망해사에는 수령 400년 이상으로 추정되는 높이 20m 안팎의 팽나무 두 그루가 있으며, 망해사의 팽나무로 전라북도 기념물 제114호로 지정되었다. 팽나무 한 그루는 망해사 낙서전 앞마당 끝 10m 지점에 있고, 다른 팽나무 한 그루는 낙서전 왼쪽 15m 되는 지점에 있다. 여행일 2021.10.23. 고즈넉함의 극치를 이루는 곳 바다를 그리며 바라본다 라는 뜻의 망해사(望海寺)는 이제 바다를 바라다 볼 수 없게 되었다. 망해사의 정원인양 역사를 같이했던 바닷물이 매일 절 앞마당 바로 아래까지 밀려왔다가 밀려가곤 했는데, 새만금방조제 완공으로 바닷물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제.. 2021. 11. 2.
김제 아리랑 문학마을 _ 일제의 만행을 고하다 김제 아리랑문학마을 일제강점기 시절에 우리 민초들의 혹독한 삶을 그린 조정래 작가의 아리랑를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아리랑 문확관 경내에는 일제강점기 때 나라 잃은 아품을 겪어야했던 홍보관과 근대 수탈기관, 내촌·외리마을, 허얼빈역 등을 주요 배경에 뒀으며,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도록 재현했다. 홍보관은 소설 아리랑과 작가 조정래 선생을 기념하는 전시실로 구성됐으며 일제에 만행과 수탈 과정, 항일운동에 관한 섬세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 일제 수탈기관 들 수탈기관의 선봉장이였던 면사무소를 비롯하여 주제소(지금의 경찰서), 우체국, 정미소 등을 재현했다. 죽산면사무소 일제강점기 당시의 면사무소는 토지 수탈 만행에 앞장선 기관으로 손꼽힌다. 죽산주재소 일제강점기 때의 주재소만큼 무서운 곳이 또 있을까 우는 .. 2021. 11. 1.
지평선을 여는 김제 벽골제(金堤 碧骨堤) 지평선을 여는 김제 벽골제(金堤 碧骨堤) 벽골제 내에는 숙박체험을 위한 전통가옥 세 채(기와 2동, 초가 1동)가 있으며 총 9개의 객실이 마련되어 있다. 숙박 가옥은 김제시 교동에 있는 동헌 내아 와 석정 이정직 생가, 망해사 낙서전을 모델로 했다. 한복 체험장 농경사 주제관 및 체험관 농경사 주제관 옥상에 있는 조형물 농경사 주제관 옥상에서 내려다보는 풍경 여행일 2021.10.23. 김제 벽골제(金堤 碧骨堤) 백제 11대 비류왕 27년(330)에 쌓았다. 그 이후 신라 원성왕 6년(790)과 고려 헌종 및 인종 31년(1143)에 고쳐 쌓은 후 조선 태종 15년(1415)에 다시 수축(修築)하였다. 지금 유적에는 일직선으로 약 3km 정도의 둑만이 남아있으며, 둑의 북쪽에는 조선시대에 다시 쌓고 이.. 2021. 10. 31.
처영문화기념관 _ 송월주 스님 특별전 / 금산사 템플스테이 처영문화기념관_송월주 스님 특별전 "진리는 세간 속에서 실천하는 것" 금산사 처영문화기념관에서 故 송월주 스님의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故 송월주 스님과 故 김수환 추기경은 바른 인간성 교육에 종교를 뛰어 넘는 소통과 협조의 길을 보여주셨고, 공동으로 사랑의 일기장 후원회장을 맡아 서로의 신앙을 존중하며 천주교와 불교의 화합을 위해 노력하셨다. 나는 쉬고 싶다~ 김제 금산사 템플스테이 가을볕 아래 훈장처럼 반짝이는 저 붉은 열매들 스스로를 뽐내는 법 없이 또 누군가의 양식이 되어주겠지 무심한 듯 지내온 또 한 해가 두볼을 붉으데데 만든다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_김제 금산사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 대한불고조계종 제17교구 본사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 있는 금산사(金山寺)는 백제 .. 2021. 10. 28.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_김제 금산사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모악산에 있는 절(寺刹)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 미륵전(彌勒殿)은 3층 목조건물로 1층 대자보전(大慈寶殿), 2층 용화지회(龍華之會), 3층 미륵전(彌勒殿) 편액이 각각 붙어있다. 미륵전 내부는 층을 나누지 않은 통층으로 중앙에 높이 11.82m의 커다란 미륵불입상과 좌우에 높이 8.79m 보살입상을 봉안하였다. 여행일 2021.10.23. 모악산 금산사(母岳山 金山寺) 백제 법왕 원년(599)에 창건되었다. 766년 진표율사는 미륵장육존상을 세우고 미륵전을 지어 점찰법과 미륵십선계로 민중을 교화하였다. 1079년(고려 문종33) 혜덕왕사 소현 화상이 대사구와 봉천원구, 광교원구 등 총 88당 711칸의 대가람으로 중창하였고, 35부 .. 2021. 10. 27.
찹쌀매실고추장 담갔어요 넘 맛나 ^^ 찹쌀매실고추장을 담가봤어요 메주를 넉넉히 넣었더니 구수한 맛이 찐입니다    영양 챙긴 구수한 찹쌀매실고추장 !! 입안 텁텁할 때, 입맛 느끼할 때, 찹쌀매실고추장 좋아좋아 ~~ 따끈한 밥 위에 찹쌀매실고추장 한술 넣어 쓱쓱 비벼 먹으면 별미가 따로 없겠네요 2021. 10. 16.
마음이 예뻐지는 날 ♡나는 너를 사랑한다♡ 마음이 예뻐지는 날 하늘에 떠있는 흰구름이 좋다 갈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좋다 뺨을 스치는 건들바람이 좋다 너를 그리고 너를 생각하고 적당히 쓸쓸한 지금이 좋다 마음을 보여줄 수 없으나 나는 너를 사랑한다 늙어가는 사람만큼 인생을 사랑하는 사람은 없다 - 소포클레스 - 2021. 10. 14.
전기밥솥 흑마늘, 흑마늘 만드는 일등공신 전기밥솥 흑마늘 만들기 흑마늘 만드는 일등공신 전기밥솥 ① 마늘의 겉껍질을 벗기고 쪽을 낸다 ② 마늘의 뿌리 부분을 잘라낸다 ③ 전기밥솥에 마늘을 가즈런히 안치고 보온 기능에 약 2주간 둔다(숙성 기간) ≠ 전기밥솥의 성능에 따라 보온(12일~14일) 일을 조정한다 ≠ 보온 기간 중에 전기밥솥을 열어보지 않도록 한다 ≠ 약 2주 후 숙성된 마늘을 채반에 널어 바람 통하는 그늘에서 습기를 제거한다 ≠ 이후 사용자 마음 내키는 대로 관리, 섭취한다~~ 끝. 2021. 9. 9.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비둘기낭 폭포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천연기념물 제537호) 비둘기낭 폭포 여행일 2021.07.11. 2021. 7. 28.
포천 한탄강 하늘다리 & 마당교(흔들다리) 포천 한탄강 하늘다리 마당교(출렁다리) 가는 길 하늘다리를 제외한 마당교는 왕복 400m 거리이다. 흙계단 오르막길 끝. (70m) 이곳에서부터는 내리막 길이다. 내리막 길은 데크로 되어 있다. (130m) 마당교(흔들다리) 마당교(길이 58m) 마당교 아래로는 한탄강의 지류인 건지천이 흐른다. 되돌아 나가는 길 여행일 2021.07.11. 2021. 7. 2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