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0 강화도령, 조선 제25대 왕 철종 잠저에 세워진 용흥궁(龍興宮), 철종조잠저구지(哲宗朝潛邸舊址) 용흥궁(龍興宮)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0호] 용흥궁은 강화도령으로 불렸던 조선의 25대 왕 철종(哲宗)이 왕위에 오르기 전 열아홉 살까지 살았던 곳에 새로 세워진 것이다. 본래는 그렁저렁한 초가삼간이었는 데, 철종 4년(1853)에 강화유수 정기세가 지금과 같은 건물을 짓고 용흥궁(龍興宮)이라 하였다. 그뒤 대한제국 광무 7년(1903)에 청안군 이재순이 중건하였다. 용흥궁(龍興宮) 현판이 붙은 대문 옆으로 행랑채가 있고, 가림막 담장 안의 내전(안채) 마당 끝에 사랑채가 있다. 철종의 잠저 비석과 비각 비석에는 "철종조잠저구지(哲宗朝潛邸舊址)" 조선의 제25대 왕 철종(哲宗)이 살았었다는 비문이 새겨져 있다. 철종(哲宗)의 능은 경기도 고양시 원당면에 있으며, 능호는 예릉(睿陵)이다. 조선 제25.. 2022. 6. 12. 강화유수부 이방청(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 강화유수부 이방청(江華留守府吏房廳 :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 강화유수부 안에 있는 6방(六房 : 이방·호방·예방·병방·형방·공방) 중 이방이 집무실로 사용하던 곳이다. 조선 효종 5년(1654)에 건축되었고, 정조 7년(1783)에 건물 내부를 고쳐 괘홀당이라고 불렀다. 고려 고종 때 궁궐이 있었던 터에 위치하고 있다. 2022.06.05. 2022. 6. 11. 강화동종각 강화동종(江華銅鍾) 강화동종각(江華銅鍾閣) / 강화동종(江華銅鍾 : 보물 제11-8호) 강화 고려궁지 터 강화동종각 안에 보관되어 있는 강화동종은 원래 강화도 정족산성 남문에 걸려있던 것으로써 강화산성의 성문을 열고 닫을 때 쳤던 범종이다. 2022. 6. 11. 강화 고려궁지 - 강화유수부 동헌, 외규장각 강화 고려궁지(江華 高麗宮址 : 사적 제133호) 1232년(고려 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에 대항하기 위하여 수도를 강화도로 옮긴 후, 1270년(원종 11) 몽골과 화의를 맺고 개성으로 환도할 때까지 39년 동안 고려의 왕궁터였다. 강화유수부 동헌(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조선시대 강화의 행정 책임자인 유수가 업무를 보던 중심 건물로, 1977년 복원 수리하였다. 강화유수부 동헌 뜰에 있는 이 느티나무는 수령이 약 400년 정도로 조선 인조 9년(1631)에 여러 전각과 행궁을 세울 때 심었던 나무로 추축된다. 외규장각(外奎章閣) 1972년 2월 조선 정조 때 왕실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도서관으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활을 하였다. 어람용 의퀘는 왕이 열람하는 의.. 2022. 6. 10. 유서 깊은 사찰 강화 전등사(江華 傳燈寺) 전등사 가는 길 삼랑성(정족산성) 동문이 보인다 전등각 삼랑성 동문 입구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전등사 템플스테이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다. 삼랑성(국가사적 제130호) 동문 전등사에는 여느 사찰과는 달리 일주문이나 불이문이 없고, 그 대신 호국의 상징이었던 삼랑성(정족산성) 동문과 남문이 일주문 구실을 하고 있다. 전등사 사거리에서 전등사로 진입할 때 가장 먼저 보이는 문이다. 양헌수 승전비(梁憲洙 勝戰碑 : 인천광역시 기념물) 양헌수 장군이 병인양요 때 정족산성(삼랑성)에서 프랑스군을 물리친 공을 기리기 위해 강화군민이 1873년(고종 10)에 세운 것이다. 향헌수 장군은 헌종 4년(1838)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고, 병인양요 때 공을 세워 한성부 좌윤으로 특진되었으며, 부총관·금위.. 2022. 6. 9. 5월의 어느 날 경포호 경포해변 오월의 셋째 주 토요일 느낌 하나 건져 올리기 위해 원거리 소풍 나와 의레 쉼표 찍었다 지나는 길목마다 후덥지근 땡볕 그렇지만 가슴은 시원 산뜻 기분은 영 상쾌 유쾌했다 경포도립공원 1982년에 강원도에서 두 번째로 지정된(동해도립공원 다음) 해양관광지로써 관동8경 중 하나인 경포대와 참소리박물관, 경포호수, 경포해수욕장을 포함하고 있다. 경포도립공원 주변에는 방해정(放海亭:강원도 유형문화재 제50호), 해운정(海雲亭:보물 제183호), 금란정(金蘭亭:강원도 문화재자료 제5호), 오죽현(烏竹軒:보물 제165호), 선교장(船橋莊:중요민속자료 5호), 객사문(客舍門:국보 제51호) 등의 명승고적과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경포호 둘레길 경포호(鏡浦湖) 경포호에는 보름달이 네 개 뜬다는 풍월이 있었다 물이 거울.. 2022. 6. 7. 대관령 하늘목장, 반려동물과 동반 산책할 수 있어요 ∇ 대관령 하늘목장 대관령 하늘목장의 양떼목장은 농림부에서 지정한 동물복지와 산림보존에 특화된 산지생태축산 목장이다. 운영 시간 개장 매표마감 폐장 1월~2월 11월~12월 09:00 16:00 17:00 3월 / 10월 09:00 16:30 17:30 4월 / 9월 09:00 17:00 18:00 5월~8월 09:00 17:30 18:30 ※ 휴무일 : 설날(음 1.1), 추석(음 8.15) 당일 ※ 관람시간은 날씨, 목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입장료 개인 단체 대인 7,000원 5,500원 소인 5,000원 4,000원 우대 4,000원 4,000원 ∇ 양 먹이주기 체험 ∇ 아기동물원(하절기 체험장) ∇ 방목지(동절기 체험장) ∇ 양 방목지 방목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 2022. 6. 1. 평창올림픽 메달플라자, 2024년 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 예정 / 천주교춘천교구관광본당횡계성당(대관령성당) 평창올림픽 메달플라자 - 평화, 시작되다 평창올림픽 메달플라자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중추적 역할을 했던 곳이다. 강원도는 2020년 1월 스위스 로잔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제4회 2024년 동계유스올림픽(동계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다. 전 세계 15~18세 스포츠 유망주들이 참가해 기량을 겨루는 동계유스올림픽은 2012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회를 시작으로 4년마다 열린다. 오는 제4회 동계청소년올림픽은 2024년 1월 19일부터 2월 1일까지 강릉, 평창, 정선, 횡성에서 열릴 예정이며, 종목별 개최지는 다음과 같다. *강릉 / 빙상 *평창 / 노르딕스키, 썰매 *정선 / 알파인스키, 모굴 *횡성 / 프리스타일스키, 스노보드 ▼ 천주교춘천교구관광본당횡계성당 / 대관령성당(횡계성당) 여.. 2022. 5. 30. 평창 밀브릿지 자연과 하나가 되어 평창 밀브릿지 자연체험학습장 밀브릿지 입구부터 방아다리 약수까지 이어지는 약 300m 길은 60년 넘게 가꾸어진 전나무와 낙엽송이 숲을 이루고 있다. 체험료로 규정지은 입장료는 성인 3000원, 청소년 2000원, 어린이 1000원이다. 한 번쯤 머무르고 싶은 곳 밀브릿지의 숙박시설(생활관)은 2인실,3인실,4인실 총 14개가 있으며, 온라인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고 있다. 방아다리 약수 방아다리 약수는 철분과 탄산이 풍부해 조선시대 숙종 때부터 약효를 인정받았다고 한다. 한데 오늘날에 이르러서 평창군에서 실시하는 수질검사에서 42개 항목 중 2개 항목(철분·탁도)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먹는물로 부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다고 한다. 사실상 약수로서의 수명을 다했다고 할 수 있겠다. 자연을 최대한 살려서 조성한.. 2022. 5. 27. 삼례문화예술촌 삼례책마을 (완주) 삼례책마을 1950년 대에 지어진 양곡창고를 개조하여 2014년에 만들어졌다. 북하우스, 책박물관, 북갤러리, 한국학아카이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 갤러리, 북갤러리는 유료 입장해서 관람할 수 있다. 북 하우스 북하우스 한 쪽 공간에는 북카페가 자리하고 있으며, 편안한 독서와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삼례 헌책방 삼례 책마을 문화센터의 거점공간으로 약 10만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헌책을 판매하는 전국 최대 규모라고 한다. 완주전주공감 / 문화재갤러리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전시공간이다. 한(韓), 가야(伽倻) 등 완주의 기원 전후의 역사와 유적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상운리 유적에서 발굴된 가야(加耶)의 단야구를 비롯한 철기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가야는 한반도에서 가장 품질 좋은 .. 2022. 5. 2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19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