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경기&인천

서장대, 수원시티투어로 화성을 돌며..

by 오향란 2008. 4. 6.
반응형

 

 

 수원역 근처의 수원관광안내소에서 화성(華城)을 돌아 보기 위해 오전 10시에 출발하는 수원시티투어에 올랐다. 

수원관광안내소 -> 서장대 -> 화성행궁 -> 화홍문 -> 연무대 -> KBS 드라마 센타 -> 수원관광안내소

 

 ▼ 수원관광안내소 앞에서

 

 

 

 ▼ 화성(華城)

근대 초기의 군사건축으로서 동서양의 과학을 통합하여 발전시킨 건축물로 평가를 받아 "수원 화산"이란 이름으로 한국에서는 5번째 세계적으로는 380여 번째로 지난 1997년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청 뒤쪽에서 부터 투어를 시작했다. 서장대(西將臺)를 올라가기위해 성벽 외곽으로 해서 서암문을 향해 가는길..

 

 

 ▼ 길목에 개나리가 샛노랗게 피어있다. 날씨도 화창한 아름다운 봄날이다.

 

 

 

 ▼ 서포루(西砲樓)

서포루는 화성의 5개 포루중 하나이며 1776년(정조20년) 8월 18일에 완공 되었으며 서암문이 적에게 발각되어 공격받을 것에 대비하여 설치되었다. (포루는 성곽을 돌출시켜 만든 치성위에 지은 목조건물이며 초소나 군사대기소와 같은 곳이다)

 

 

 ▼ 서암문(西暗門) : 말 한필이 겨우 지나갈 정도의 문  

유사시에 군사물자를 반입하는 암문으로 자연지형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적이 알지 못하도록 성곽의 깊숙하고 후미진 곳에 출입구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문이 잘 안보이도록 한쪽 성벽을 감아 만든 작은문이다. 1796년(정조20년) 6월 18일 완공하였다.

 

 

 

 

 ▼ 서암문(西暗門)을 통해 성안으로 들어와서 서장대(西將臺)를 바라보며...  

 

 

 ▼ 서장대(西將臺) 군사지휘통제소로 설치된 누각으로 화성장대(華城將臺)라는 현판을 달고 있다.

팔달산 정상에 있는 서장대에 서니 화성은 물론 사방의 수원시내가 내려다 보인다. 서장대에 걸린 화성장대란 편액은 정조가 친히 쓴 것이라고 하는데 지금의 화성장대 편액은 정조의 친필인지는 모르겠다. 서장대는 세번의 소실이 있었다. 전쟁으로 인해 소실 되기도 했고 최근에는 2년 전에 방화로 보이는 화재로 2층 누각이 소실되기도 했었다. 세번의 재난에도 흔적을 말끔히 지우고 번듯하게 제 모습을 하고 있는 서장대를 보며 국보1호 숭례문이 화재가 떠오른다. 수많은 문화재가 우리문화의 소중한 재산이라는 느낌이 전과는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서장대(西將臺)앞 노란깃발이 서장대의 위상을 말하는 것 같다.

 

 

 

 ▼ 서노대(西弩臺) : 성밖의 적의 동향을 파악하는 곳이며 적에게 쇠뇌를 쏠 수 있도록 만든 방어시설

팔달산 정상 서장대를 앞으로 두고 서쪽 성벽 가까이에 있는 서노대에 올라서니 화서역 쪽과 서호가 한눈에 내려다 보인다.

 

 

▼  서장대(西將臺)에서 화성행궁(華城行宮)으로 내려가는길...  아래쪽에 화성행궁(華城行宮)이 보인다.

 

 

 내가 살고 있는 수원은 문화의 도시이자 효(孝)의 도시라고 부른다. 뒤주에서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를 향한 애뜻한 정조대왕(조선22대)의 효심이 비롯되어서 일컬어진 말이다. 정조는 당파정치 근절과 왕도정치의 실현을 추진하였으며 1789년에 이르러서 1762년에 죽은 아버지 사도세자(장헌세자)의 묘를 당대 최고의 명당자리라 일컬어지는 수원 고을의 화산으로 옮기면서 화산 아래에 거주하던 수원 고을 주민들을 팔달산이 있는 지금의 수원으로 이주 시켰다. 그리고 수원 고을에 새로운 역사의 중심지로 이상적인 도시를 옮길 계획을 세우고 화성(華城)을 건축하기에 이른다. 정조대왕은 화성을 건축하기 위해 많은 책을 수입하여 연구하게 하였으며 그로인해 실학자인 유형원과 정약용이 성을 설계하고 과학적인 기증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큰 힘이 되었고 무엇보다도 모든 일꾼들에게 품삯을 주고 일을 시켰기 때문에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2년 반이란 짧은기간[1794년(정조18년)~1796년(정조20년)]에 완성한 동양 최초 계획된 신도시이다.

 

 답사일 2008.04.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