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 만델라 하우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웅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by 오향란 2015. 10. 29.
반응형

 

 

케이프 타운 Good Bye~

 

 

South Sun Newlands 호텔 조식 후 케이프타운 국제공항으로 향했다.

 

 

케이프타운 공항 도착 → 요하네스버그 국제공항으로 향발~

 

 

요하네스 버그 도착, 넬슨 만델라 하우스로 향하고 있다.

 

 

저기 저 삶 속을 들여다보고 싶은 데...

 

 

관광용 버스들

남아공을 찾는 여행객은 단체라도 10명 전후여서 관광버스는 대부분이 15~16인승이란다.

 

 

 

넬슨 만델라 하우스가 있는 마을 어귀다.

 

 

 

 

 

넬슨 만델라 하우스

넬슨 만델라 하우스는 1963년 넬슨 만델라가 체포될 때까지 살았던 곳이다.

 

 

넬슨 만델라 하우스에 들어서서

건물은 작은 마당을 두고 양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만델라 침실이 있는 건물에는 그에 관한 자료와 유품이 빼곡히 들어차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영웅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79년 옥중에서 자와할랄네루상, 1961년 브루노 크라이스키 인권상, 1983년 유네스코의 시몬 볼리바르 국제상을 받았다.

저서로 [투쟁은 나의 인생 The Struggle is My Life (1961년)], 자서전 [자유를 향한 머나먼 여정 Long Walk to Freedom (1995년)]이 있다.

 

 

 

넬슨 만델라(Nelson Mandela) (1918.7.18~2013.12.5)

 

아프리카 족장의 아들로 태어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에 오른 넬슨 만델라

우리나라의 박근혜 대통령도 그렇고, DNA 라는 거 무시할 수 없는 것 같다.

 

 

 

종신형을 선고 받고 27년 만에 출소한 넬슨 만델라의 나이는 일흔 한살이었다.

그리고 노년의 20여 년을 한결같이 살면서 이룬 많은 일들은 27년 간의 감옥 생활의 매듭이었을 것이다.

 

 

 

넬슨 만델라 가족 사진

2005년, 첫째 부인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이 이즈로 사망하였다.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파국을 막기 위해 클레르크의 백인 정부와 원주민 줄루족 등과 협상을 별여 민주적인 선거를 관철시켰다.

그 공로로 1993년 클레르크와 함께 노벨평화상을 받았으며, 1994년 4월 27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최초의 흑인 참여 자유총선거에서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그 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아파르트헤이트는 종결되었고, 마침내 350여 년에 걸친 인종분규를 종식시켰다.

 

아파르트헤이트(Apartheid 인종격리정책) : 남아프리카 흑인들을 열등한 위치에 놓이게 한 모든 억압적 법규와 제도 

 

 

 

넬슨 만델라는 1999년 대통령에서 퇴임한 이후 에이즈 퇴치 운동에도 앞장을 섰다.

그는 에퀴티니섬 로벤 아일랜드 감옥에서 복역(27년)할 당시의 죄수번호(46664)를 콘서트 이름으로 활용하였으며

2003년 영국에서 개최한 "46664 콘서트"는 세계적인 스타들의 우정 출연이 이어져 에이즈 퇴치 기금 마련에 기틀이 되었다.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에이즈 환자 수는 현저히 감소했다.

 

 

 

넬슨 만델라 대통령은 1995년 7월과 2001년 3월

한국을 두 차례에 걸쳐 방문하여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간의 우의와 경제협력 방안을 협의한 바 있다.

 

 

 

 

 

넬슨 만델라가 사용했던 침실

 

 

 

훗날의 주역이 될 학생들, 어디를 가나 교복 입은 학생을 만나면 기분이 좋다.

지구상에서 인종차별이란 단어가 사라지기를 기원한다.

 

 

 

 

여행에 있어 오른팔 같은 디지탈 카메라!

내 만만한 여행 친구(디카)를 실수로 떨어뜨려, 넬슨 만델라 하우스 이후로 사용하지 못했다.

바로 아래와 같은 현상으로 ㅠ, 그래도 기대는 하시라, 대타 휴대폰이 있으니까~

 

 

여행일 2015.10.09.

 

 

 

2859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