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옛길13 수원의 예술문화와 함께하는 경기옛길 (삼남길 5구간 및 여기산공원 일원) 수원의 예술문화와 함께하는 경기옛길 삼남길 5구간 및 여기산공원 일원 시 간 코 스 내 용 12:30 ~ 12:50 20 화서역 5번출구 ~ 새싹교 - 참가자 확인 - 서호꽃뫼공원 도보 - 서호천길 도보 12:50 ~ 13:50 60 새싹교 ~ 여기산공원 - 여기산과 백로 - 우장춘박사묘 방문 13:50 ~ 14:40 50 여기산공원~항미정 -.. 2019. 12. 3. 용인 내동마을 연꽃단지 - 연잎차 만들기 체험 / 농경문화전시관 용인 내동마을 연꽃단지 한여름(7~8월)의 만개를 준비하고 있는 연꽃밭 연밭 곳곳에 원두막이 설치되어 있어 도시락을 준비해가도 좋은 곳 겨울이면 연밭은 눈썰매장으로 탈바꿈을 한단다 영남길의 푸른 들판을 걷고 향기 그윽한 연잎차를 만들어 보는 체험까지~~ 잘게 썰은 연잎을 네 번에 걸쳐 덖고 식히고... 연잎은 억센 편이라 대여섯 번 정도 덖는 게 더 좋지 않을까 싶다. 한 조가 된 네 명이 사이좋게 만들어서 나누어 가진 연잎차! 용인 농경문화전시관 관람. ▼ 농경문화전시관 뒤편에 있는 용인 농촌테마파크 체험농장, 유실수단지, 들꽃광장, 꽃과바람의정원, 잣나무숲, 허브농원, 숲속도서관, 곤충 전시관 등이 들어서 있다. 이용 시간은 하절기(3~10월)는 09:30~17:30분이고, 동절기(11월~2월)는 0.. 2019. 7. 3. 경기 옛길 영남길 6구간(일원) 생태탐방 경기 옛길 영남길 6구간(일원) 생태탐방 경기문화재단 앞에서 대절버스로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독성2리 입구까지 이동 (약1시간 소요) 독성2리 입구에서 영남길 6구간의 일원인 내동마을 연꽃단지까지 걷기 (약 5km) 구봉산 둘레길 조선시대의 길: 성남-용인-안성-이천을 잇는 조선시대의 .. 2019. 7. 2. 경기 영남길의 제10길, 이천 어재연 고택 답사 사진 속에 도로 저 쪽은 충청북도 음성군이다. 이천시 율면 신성1리(돌원)는 경기도와 충청도를 잇는 조선시대 영남길의 요충지로, 큰 장(돌원장)이 섰던 큰 마을이었다고 한다. 돌원은 돌이 많은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된 지명으로 한자를 써서 석원((石院)으로도 불렀다. 이천 어재연 고.. 2018. 3. 19. 경기옛길 아카데미 과정 수료 2017. 8. 17. 삼남길의 소사원길! 역사를 찾아가는 도보여행 역사를 찾아가는 도보여행, 삼남길 제10길 소사원길! 평택 굿모닝병원 후문 쪽이다. 이곳에서부터 소사원길 도보여행이 시작되었다. 평택시 소사동 대동법시행기념비가 있는 곳에 도착해 스탬프를 찍었다. 예전의 소사는 마을 앞에서부터 백리 길인 포승면까지 평야를 이루었다고 해서 .. 2017. 7. 25. 조선시대 실학자 반계 유형원 선생 묘 (경기도기념물 제31호) 조선시대 실학자 반계 유형원(1622∼1673) 반계 유형원은 1622년(광해군 14) 서울에서 출생, 5세부터 공부를 시작하여 조부의 뜻을 따라 한 번의 과거를 치러 진사가 되었을 뿐 관직에 나아가지 않았다. 32세 되던 1653년(효종 4) 이후에는 전라도 부안으로 내려가 농촌 사회의 현실을 스스로 체.. 2017. 7. 20. 경기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 도보 여행 경기 영남길 제7길 구봉산길 아홉 개의 봉우리를 뜻하는 구봉산(九峯山)은 용인시 원산면과 안성시 고산면의 분기점이 되는 산이다. 구봉산길은 용인시 원삼면 독성리 구봉산에서 정배산, 조비산을 관통하며 백암면 석천리 황새울마을까지 이어진다. 경기문화재단 버스로 이곳에 도착(.. 2017. 7. 19. 삼남길 7구간, 독산성길 여계산을 걸었다 동탄어린이천문대 도심에서 벗어나 있다보니... 외관이 좀 더 깨끗했으면 하는 생각을 했다. 겨우 모내기를 마친 모습, 심어 놓은 모가 가냘퍼 보인다. 이 논은 한 발 앞서 물을 댄 모양이다. 모가 한층 튼실하다. 굴다리를 지나고... 금암동 여계산에 올랐다. (경기옛길 삼남길 7구간) 애기.. 2017. 6. 12. 경기옛길 산성탐방, 삼남길 7구간 독산성 세마대지를 돌아보았다 경기옛길 삼남길 7구간 오산 세마대역에서 도보로 독산성 세마대지 탐방길에 나섰다. 독산성 암문으로 입성, 뜨거운 태양 아래서 맡은바 임무를 다했던 이재호(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씨로부터 들었던 독산성에 관한 스토리텔링이 이해를 돕는다. 독산성 암문(暗門) 독산성은 암문.. 2017. 6. 12. 이전 1 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