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강화고려궁지3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대한성공회 강화성당(大韓聖公會 江華聖堂 : 사적 제424호) 1889년 영국에서 한국주교로 서품 받은 찰스 존 코프(한국명 고요한) 주교가 1896년(고종 33년) 강화에서 처음으로 한국인에게 세례 준 것을 계기로, 4년 후 대한제국 광무 4년(1900)에 대한성공회로서는 가장 먼저 강화에 이 성당을 건립했다고 한다. 궁궐의 단면을 보는 듯한 전통 한옥의 느낌 성당의 2층 전면에 내걸린 천주성전(天主聖殿) 현판은 사찰의 느낌이 나고 기와 지붕 꼭대기에 세워진 십자가는 도전적인 느낌을 준다. 성당 내부 천장에 줄줄이 매달려 있는 샹들리에가 인상적이다. 1915년, 성공회 강화성당 신자이던 김희준을 첫 한국인 성공회 사제로 배출했으며, 당시 한글로 기록된 사제 서품장이 예배당 내에 보존돼 있다고 한다. 여행.. 2022. 6. 13.
강화동종각 강화동종(江華銅鍾) 강화동종각(江華銅鍾閣) / 강화동종(江華銅鍾 : 보물 제11-8호) 강화 고려궁지 터 강화동종각 안에 보관되어 있는 강화동종은 원래 강화도 정족산성 남문에 걸려있던 것으로써 강화산성의 성문을 열고 닫을 때 쳤던 범종이다. 2022. 6. 11.
강화 고려궁지 - 강화유수부 동헌, 외규장각 강화 고려궁지(江華 高麗宮址 : 사적 제133호) 1232년(고려 고종 19) 몽골군의 침입에 대항하기 위하여 수도를 강화도로 옮긴 후, 1270년(원종 11) 몽골과 화의를 맺고 개성으로 환도할 때까지 39년 동안 고려의 왕궁터였다. 강화유수부 동헌(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조선시대 강화의 행정 책임자인 유수가 업무를 보던 중심 건물로, 1977년 복원 수리하였다. 강화유수부 동헌 뜰에 있는 이 느티나무는 수령이 약 400년 정도로 조선 인조 9년(1631)에 여러 전각과 행궁을 세울 때 심었던 나무로 추축된다. 외규장각(外奎章閣) 1972년 2월 조선 정조 때 왕실관련 서적을 보관할 목적으로 설치된 도서관으로, 왕립 도서관인 규장각의 부속 도서관 역활을 하였다. 어람용 의퀘는 왕이 열람하는 의.. 2022. 6. 10.
728x90
반응형